mobile background
Korean Cancer Study Group 
Webzine Vol.33  SEP 2024 
mobile background
질병분과별 공지사항

유방암분과 


1. KCSG 유방암분과는 2024년 5월 31일- 6월 4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2024년 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에서 다기관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 3편의 초록을 구연 발표 및 포스터발표를 하였다.

1) KCSG BR15-01 : 유방암분과 위원장 손주혁 교수 (연세암병원) PI 로 우리나라 22개 기관이 참여하여 2-3기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 86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PEARLY 3상 임상결과를 구연 발표를 하였다. 카보플라틴을 추가한 그룹에서 1차 평가변수인 5년 EFS (event-free survival) 이 81.9% 로 대조군 74.4% 에 비해 7.5%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사건 발생 또는 사망 위험은 32% 줄인 것으로 보여줬다. (HR 0.68, 95% CI 0.50-0.93, p=0.0017). 

2) KCSG BR15-10: 두번째로, 박연희 교수 (삼성서울병원) PI로 진행한 국내 연구자 주도 2상 임상인 YoungPEARL 연구의 업데이트 생존 데이터를 구연 발표하였다. 2019년 ASCO에서 1차 평가변수인 PFS (무진행생존)분석 결과를 구연 발표한 적 있었으며, 금번 2024년에는 추적관찰 기간 중앙값 54.0개월차에 업데이트된 결과로, mPFS 19.5 vs 14.0개월로 확인되었고, mOS는 54.8 개월 vs 57.8개월로 GnRH 작용제와 함꼐 엑스메스탄, 팔보시클립 병용요법이 카페시타빈 단독요법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는 보여주지 않았다. 

3) KCSG BR21-15 : 세번째로 후향적 연구로 호르몬 양성, HER2 음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1차 요법으로 palbociclib + letrozole에 대한 다기관 국내 21개 기관을 통해 1017명의 환자들의 real world data를 이지은 교수 (서울성모병원) 주도하에 분석하여 포스터 발표를 하였다. mPFS 는 28개월, mOS는 61.6개월로 보여주었으며, palbociclib 사용을 위해 난소절제를 시행한 환자와 자연 폐경 환자들에서의 mPFS 는 유사하게 보여주었다.


2. KCSG 유방암분과에서 진행한 KCSG BR18-16 KORNELIA ( PI 김지현 교수 / 분당서울대병원) 가 2024년 6월 11일 부로 허가초과 항암요법으로 승인되었다.
(이전 anthracycline(neoadjuvant/metastatic setting 무관), 그리고 metastatic setting에서 taxnane-based chemotherapy를 받은 HER2 음성 전이성 유방암을 대상으로 2차 이상의 고식적 (palliative) 요법으로 Eribulin 1.4 mg/m2 매 주기의 D1, D8 + Nivolumab 360 mg 매 주기의 D1 (21일 주기, 최대 2년))


3. 2024년 7월 6일 제19회 Methodology workshop에서 김한조 교수 (순천향대 천안병원)/ 박연희 교수 (삼성서울병원) 가 발표한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환자에서 Sacituzumab govitecan과 페길화 G-CSF 병용치료의 다기관, 공개, 단일군 제2상 임상연구”가 2등으로 선정되어 연구비 1,000만원 및 데이터센터 업무 일부 지원을 받게 되었다.